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 희망저축계좌Ⅱ 신청자격 및 정부지원금 총정리 (11월 15일 기준 최신)

by 복진포 2025. 11. 15.

2025년의 희망저축계좌Ⅱ는 저소득 근로·사업소득 가구가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장려금을 더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 청년 중심의 제도가 아니라, 주거·교육급여 수급가구와 차상위 계층에게 폭넓게 열려 있다는 점에서 ‘틈새 지원금’으로 여전히 관심이 높습니다.

 

희망저축계좌Ⅱ 공식 안내 바로가기

 

 

1. 2025 희망저축계좌Ⅱ 핵심 요약

  • 대상 : 일하는 주거·교육급여 수급가구, 기타 차상위계층
  • 가입 소득 기준 :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 유지 소득 기준 : 가구 근로·사업소득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 저축 조건 : 매월 10만 원 이상 본인 저축
  • 정부 지원 : 근로소득장려금 + 자활근로 참여 시 추가지원금(내일키움장려금·수익금 등)
  • 지원 기간 : 3년 만기
  • 2025년 모집 현황 : 1·2차 모집 종료, 3차 모집은 예산 문제로 전면 중단

2025년 11월 15일 기준, 신규모집은 모두 마감되었으며 올해는 더 이상 신청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2. 희망저축계좌Ⅱ란?

희망저축계좌Ⅱ는 단순한 생활비 지원이 아니라, 저소득 가구가 일을 유지하며 장기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목돈 형성을 돕는 제도입니다. 본인이 저축하는 만큼 국가가 장려금을 더 얹어 주기 때문에, 3년 뒤에는 본인저축 + 정부지원금 + 이자가 모여 실질적으로 큰 금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2025년 신청자격 (최신 기준)

3-1. 가구 요건

  • 주거급여 또는 교육급여를 받고 있는 가구
  • 혹은 기타 차상위계층 가구
  • 가구원 중 1명 이상이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함

3-2. 소득 기준

① 가입 기준 :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② 유지 기준 : 가구 근로·사업소득이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아래 표는 지자체 안내문에 기반해 정리한 2025년 기준중위소득 대비 희망저축계좌Ⅱ 가입 가능 소득 예시입니다.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월) 가입 상한 소득인정액 (월)
1인 2,392,013원 1,114,223원
2인 3,932,658원 1,841,305원
3인 5,025,353원 2,357,329원
4인 6,097,773원 2,864,957원
5인 7,108,192원 3,347,868원
6인 8,064,805원 3,809,185원
7인 8,988,428원 4,257,497원

3-3. 재산 기준

  • 대도시: 3억 5천만 원 이하
  • 중소도시: 2억 원 이하
  •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4. 정부지원금 구성 &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

4-1. 기본 구조

  • 본인 저축 : 월 10만 원
  • 정부 장려금 : 월 10만 원 수준
  • 추가지원금 : 자활근로 참여자의 경우 장려금·수익금(월 최대 35만 원 수준까지 가능)

4-2. 예시

월 10만 원씩 36개월(3년) → 본인 적립금 360만 원 정부 장려금 월 10만 원씩 36개월 → 360만 원 여기에 자활근로 참여 시 장려금이 추가되면, 3년 후 총액이 1,000만 원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5. 2025년 희망저축계좌Ⅱ 모집 일정

  • 1차 모집 : 2025년 4월 진행
  • 2차 모집 : 2025년 7월 진행
  • 3차 모집 : 예산 초과로 전국 지자체 전체 중단

즉, 2025년 11월 15일 기준 현재 신규 신청은 불가하며 다음 모집은 2026년 사업 공고를 기다려야 합니다.


6. 유지조건

  • 3년 동안 매월 10만 원 이상 꾸준히 저축
  • 근로·사업소득 유지
  • 자립역량교육 10시간 이수
  • 만기 시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7. 해지 유형

만기지급

3년 유지 + 교육 이수 + 사용 계획 제출 → 본인저축 + 장려금 + 추가지원금 전액 지급

중도지급

소득 증가, 가구 상황 변화 등 사유 발생 시 일부만 지급될 수 있음

환수 해지

교육 미이수 또는 미사용증빙 시 정부지원금 환수 후 본인적립금만 지급


8. 신청 방법 (2026년 대비)

    1.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2. 가구 소득·재산·근로요건 확인

신청·저축현황·교육관리 등이 가능한 포털

      1. 지정 은행에서 통장 개설
      2. 월별 저축 + 교육 이수
      3. 만기 시 사용계획서 제출 후 지급

9. 2026년 준비 체크 리스트

        • □ 주거·교육급여 또는 차상위계층 해당 여부 확인
        • □ 가구 내 근로·사업소득 존재
        • □ 매월 10만 원 저축이 가능한지
        • □ 3년 후 사용할 명확한 목적이 있는지
희망저축계좌Ⅱ 가능 여부 먼저 확인하기
▶ 희망저축계좌Ⅱ 공식 안내로 이동

 

 


10. 마무리

희망저축계좌Ⅱ는 “일하는 저소득층도 충분히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3년이라는 시간이 길게 느껴질 수 있지만, 꾸준히 채워진 통장과 정부의 장려금이 더해지면 지금보다 훨씬 단단한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2026년 모집을 노리는 분들이라면 지금부터 가구 소득과 재산 상태를 정리해두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 다만, 2025년 11월 15일 기준 해당 사업은 신규 모집이 종료된 상태이므로, “지금 바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상태는 아닐 수 있습니다. 신청 전 거주지 지자체의 공고 여부를 꼭 확인해 주세요.